프리터족이란, 자유를 뜻하는 '프리 (free)'와 '아르바이트 (알바)'의 합성어로, 특정한 직업 없이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최근 한국에서 프리터족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① 취업 시장의 협소화: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취업 시장이 좁아지면서 어쩔 수 없이 프리터족을 택하는 사람들이 늘었습니다.
② 자유 추구: 일부 사람들은 직장에 얽매이지 않기 위해 일부러 취업하지 않고 프리터족으로 살기를 선택합니다.
③ 최저임금 상승: 최저임금의 상승도 프리터족 증가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알바몬의 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알바 경험자 중 42.4%가 스스로를 프리터족이라고 답했으며, 이는 지난해에 비해 11.4%p 증가한 수준입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와 함께 젊은 세대의 가치관 변화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프리터족이 대한민국 사회구조에 미치는 영향
① 전문 인력 부족: 프리터족이 늘어나면 특정 분야의 전문 인력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② 결혼 및 출산 회피: 경제적 불안정으로 인해 프리터족 중 일부는 결혼이나 출산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구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③ 노후 대비 문제: 프리터족은 일반적으로 정규직에 비해 노후 대비가 어렵습니다.
④ 고립 및 은둔 현상: 프리터족 중 일부는 사회와의 소통이 줄어들어 고립되거나 은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취업에 관한 통계를 보게 된다면 프리터족이 늘어나는 것이 실업률을 줄이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업률은 일자리를 찾고 있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한 사람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프리터족은 일자리를 찾지 않고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이는 실제로는 일자리를 찾지 않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는 경제적 안정성이나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프리터족의 증가는 실업률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프리터족의 통계적 의미와 우리사회의 변화
① 2022년 기준으로 주당 50시간 이상 일한 노동자는 253만명으로, 전체 노동자의 12.0%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OECD 평균인 10.2%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② 주당 60시간 이상 일한 노동자는 67만명으로, 전체 노동자의 3.2%였습니다. 이는 OECD 평균인 3.8%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한국의 1인당 연간 노동시간은 2008년에 2228시간이었으나, 2022년에는 1901시간으로 줄어들었습니다.
※ 이러한 통계는 한국의 노동 시장에서 단시간 근로자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는 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반영하는 한편, 노동자의 경제적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한국에서 프리터족, 즉 특정한 직업 없이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알바몬이 최근 1년 이내 아르바이트를 한 경험이 있는 알바생 2,5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42.4%가 스스로를 ‘프리터족’이라 답했습니다. 이러한 답변은 남성 (40.9%)보다 여성 (43.1%)이 소폭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20대 알바생 중 46.1%로 30대 (45.8%)나 40대 (32.8%) 알바생보다 높았습니다.
프리터족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었습니다. ‘현재 프리터족 생활에 만족하는가’ 조사한 결과 ‘만족한다’는 알바생이 48.2%로 절반에 가까웠으나, 연령대별로 20대 프리터족 중에는 ‘불만족한다’는 응답자가 57.2%로 절반이상으로 많았고, 30대와 40대 프리터족 중에는 ‘만족한다’는 응답자가 각 51.4%, 50.7%로 많았습니다.
프리터족 생활을 하는 이들 상당수는 평소 한 두개의 아르바이트를 하며 일 년 중 4분의 3정도만 일한다고 답했습니다. 그리고 월 평균 수입은 100만~150만원 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한국의 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변화하는 사회에 대한 문제인식과, 이를 어떻게 질 높은 일자리로 바꿔나갈 것인지 비즈니스 모델 변경은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에 전략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제 > 경영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금리의 직격탄을 맞은 3040 영끌족 ; 부동산은 언제 사야 할까? (0) | 2024.02.26 |
---|---|
2024년 전기차 보조금 및 각 브랜드별 효과 분석 (현대기아, 테슬라, 폴스타 등) (0) | 2024.02.26 |
스캠 코인의 범죄 수익은 환수가 가능한가? (특징, 대책 및 피해규모) (0) | 2024.02.23 |
프랜차이즈 창업 시뮬레이션. 나도 사장이 될 수 있을까? (2) | 2024.02.22 |
PwC의 2024년 경제전망 보고서 요약(국내 상황 중심) (0) | 2024.02.21 |